fix: markdown bold syntax
parent
84482aa24d
commit
a3a1ccaa03
|
@ -80,20 +80,20 @@
|
|||
|
||||
- Bash 에서 **Tab**을 쓰면 argument를 완성하고, **ctrl-r**을 쓰면 커맨드 히스토리에서 검색합니다(누른 다음, 검색할 것을 입력하고, **ctrl-r**를 계속 눌러 좀 더 맞는 것을 찾을 수 있습니다. **Enter**를 눌러 찾은 커맨드를 실행하고 오른쪽 화살표 키를 눌러 결과를 현재 라인에 복사해 수정할 수 있습니다).
|
||||
|
||||
- Bash에서 **ctrl-w**는 마지막 단어를 지웁니다. **ctrl-u**는 라인의 처음까지 전부다 지웁니다. **alt-b**와 **alt-f**를 이용해서 단어 단위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. **ctrl-a**로 라인의 시작점으로 이동할 수 있고 **ctrl-e**로 라인의 끝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. **ctrl-k**는 커서 위치부터 라인의 끝까지 지웁니다. **ctrl-l**은 화면을 깨끗하게 합니다. `man readline`을 이용해서 Bash의 기본 키 조합을 살펴보세요. 많은 것이 있습니다. 예를 들면 **alt-.**같은 경우, 이건 argument를 돌아가면서 나타내고 **alt-***는 글롭을 확장합니다.
|
||||
- Bash에서 **ctrl-w**는 마지막 단어를 지웁니다. **ctrl-u**는 라인의 처음까지 전부다 지웁니다. **alt-b**와 **alt-f**를 이용해서 단어 단위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. **ctrl-a**로 라인의 시작점으로 이동할 수 있고 **ctrl-e**로 라인의 끝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. **ctrl-k**는 커서 위치부터 라인의 끝까지 지웁니다. **ctrl-l**은 화면을 깨끗하게 합니다. `man readline`을 이용해서 Bash의 기본 키 조합을 살펴보세요. 많은 것이 있습니다. 예를 들면 **alt-.** 같은 경우, 이건 argument를 돌아가면서 나타내고 **alt-*** 는 글롭을 확장합니다.
|
||||
|
||||
|
||||
- vi 스타일의 키 조합을 사랑한다면, `set -o vi`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(`set -o emacs`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).
|
||||
|
||||
- 긴 명령을 수정하려면 에디터를 설정한 다음(예를 들면, `export EDITOR=vim`) **ctrl-x** **ctrl-e**를 눌러 현재 명령을 에디터에서 열어 여러줄 편집을 할 수 있습니다. vi 스타일에서는 **escape-v**를 사용합니다.
|
||||
|
||||
- 최근 사용한 커맨드를 보려면 `history`를 입력하세요. 그 후 `!n`으로(여기서 `n`은 커맨드 번호를 뜻합니다) 다시 실행할 수 있습니다. `!$`(마지막 argument), `!!`(마지막 커맨드)와 같은 약어들이 매우 많습니다. 비록 이런 것들이 **ctrl-r**이나 **alt-.**명령어로 자주 대체되기 쉽지만요.
|
||||
- 최근 사용한 커맨드를 보려면 `history`를 입력하세요. 그 후 `!n`으로(여기서 `n`은 커맨드 번호를 뜻합니다) 다시 실행할 수 있습니다. `!$`(마지막 argument), `!!`(마지막 커맨드)와 같은 약어들이 매우 많습니다. 비록 이런 것들이 **ctrl-r**이나 **alt-.** 명령어로 자주 대체되기 쉽지만요.
|
||||
|
||||
- `cd`로 홈 디렉터리로 갈 수 있습니다. 홈 디렉터리에서 상대적으로 파일을 접근하려면 `~` 접두사를 사용합니다(예: `~/.bashrc`). `sh` 스크립트에서는 `$HOME`로 홈 디렉터리를 참조합니다.
|
||||
|
||||
- 이전에 작업하던 디렉터리로 돌아가려면 `cd -`를 사용하세요.
|
||||
|
||||
- 커맨드를 타이핑하던 도중에 마음이 바뀌었다면, **alt-#**을 쳐서 시작점에 `#`을 삽입하고, 엔터를 쳐서 코멘트로 여겨지게 하세요(또는 **ctrl-a**, **#**, **enter**). 나중에 커맨드 히스토리에서 찾아서 타이핑 중이었던 커맨드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.
|
||||
- 커맨드를 타이핑하던 도중에 마음이 바뀌었다면, **alt-#** 을 쳐서 시작점에 `#`을 삽입하고, 엔터를 쳐서 코멘트로 여겨지게 하세요(또는 **ctrl-a**, **#**, **enter**). 나중에 커맨드 히스토리에서 찾아서 타이핑 중이었던 커맨드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.
|
||||
|
||||
- `xargs`(혹은 `parallel`)를 사용하세요. 매우 강력합니다. 라인당 몇 개의 아이템이 실행되게 할 것인지(`-L`) 그걸 병렬로 할 것인지(`-P`)를 제어할 수 있다는 걸 기억하세요. 제대로 하고 있는지 확신할 수 없다면 `xargs echo`를 먼저 실행해보세요. 또 `-I{}`도 편리합니다. 예시:
|
||||
```bash
|
||||
|
@ -264,7 +264,7 @@ mkdir empty && rsync -r --delete empty/ some-dir && rmdir some-dir
|
|||
|
||||
- `sort`의 옵션을 알아두세요. `-n`은 숫자를 정렬할 때, `-h`는 사람이 읽을 수 있게 작성한 숫자의 경우(`du -h`와 같은 형태). 키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두세요(`-t`와 `-k`). 특별히, 첫 번째 필드로만 정렬해야 한다면 `-k1,1`을 적어야 한다는 걸 주의하세요. `-k1`은 모든 행에 대해서 정렬하라는 뜻입니다. 안정적인 정렬(`sort -s`)도 유용합니다. 예를 들어, 먼저 2번 필드로 정렬하고, 그다음에 1번 필드로 정렬할 경우, `sort -k1,1 | sort -s -k2,2`처럼 할 수 있습니다.
|
||||
|
||||
- 만약 탭(tab)문자를 Bash 커맨드 라인에 사용해야 할 필요가 생길 경우(예를 들면 -t argument를 이용해 정렬 할 때), **ctrl-v** **[Tab]**키를 누르거나, `$'\t'`를 쓰세요(문자쪽이 복사나 붙여넣기를 할 수 있어 더 낫습니다.).
|
||||
- 만약 탭(tab)문자를 Bash 커맨드 라인에 사용해야 할 필요가 생길 경우(예를 들면 -t argument를 이용해 정렬 할 때), **ctrl-v** **[Tab]** 키를 누르거나, `$'\t'`를 쓰세요(문자쪽이 복사나 붙여넣기를 할 수 있어 더 낫습니다.).
|
||||
|
||||
- 소스 코드를 패치하는 기본 도구는 `diff`와 `patch`입니다. diff와 `sdiff`(새로 diff)의 통계 요약을 보려면 `diffstat`를 보세요. `diff -r`은 모든 디렉터리에 대해 작업을 수행하는 걸 알아두세요. `diff -r tree1 tree2 | diffstat`으로 변경 내역의 요약을 볼 수 있습니다.
|
||||
|
||||
|
|
Loading…
Reference in New Issue